본문 바로가기

2024 근로기준법 기준 상시근로자 수 파악과 중요성

for자영업자 2024. 4. 30.

사업주 여러분! 사업장을 운영하면서 많은 사장님들이 근로기준법에 대해 궁금해하십니다. 특히 상시근로자 수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이 수치가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 근로기준법 기준 상시근로자 수 파악과 중요성
2024 근로기준법 기준 상시근로자 수 파악과 중요성

근로기준법이란?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와 사업주(대표)가 지켜야 하는 근로조건을 규정한 법입니다. 이 법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되었습니다.

근로기준법상 상시근로자

✅상시근로자란 사업장 내에서 상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의 근로자

✅이는 통상근로자, 기간제근로자, 단시간근로자 등 고용 형태를 불문하고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를 포함

✅출산휴가, 육아휴직, 정직, 병가 등으로 출근하지 않은 근로자라도 사업주와 근로관계가 지속되고 있다면 포함

 

상시근로자 수에 포함되지 않는 유형

  • 대표자
  • 가사 사용인 (가구에 포함된 가정부, 보모, 집사, 운전사 등)
  • 파견근로자
  • 동거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의 동거 친족

상시근로자 수 산정 방식

근로기준법 제7조2 제1항에 따라, 상시근로자 수는 일정 기간 내 사용 근로자 연인원 수를 일정 기간 내 사업장 가동일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상시근로자 수 = 일정기간 내 사용근로자 연인원 수 + 일정기간 내 사업장 가동일 수

※ 연인원 : 사업장의 근무일수를 사람의 수로 환산한 총 인원수
(4대보험 가입여부, 근로 시간 상관없이 근로자성이 인정되는 모든 사람)
※ 가동일 수 : 근로자가 사업자에서 근무한 일수 

 

예) A식당에서 월~금(주중)에는 5명, 주말에는 4명이 근무한다면 1개월(4주) 기준으로 연인원은 100(주중) + 32(주말) = 132명이고 가동일 수는 28일이므로 상시근로자 수는 132 ÷ 28 = 4.714입니다.

 

근로기준법 상,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가 5명 미만일지라도 한 달 동안의 가동일 수 중 절반 이상인 날에 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이면, 그 사업장은 5인 이상으로 인정받습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근로자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사업주가 법적인 의무를 이행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A식당은 28일 동안의 가동일 수 중 절반이 넘는 날에 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이므로 5인 이상 사업장이 되는 것입니다.

상시근로자 수 5인 기준으로 적용되는 근로기준법의 비교

근로기준법의 적용 유무는 상시근로자 수 5인을 기준으로 합니다. 5인 미만인 경우, 각종 수당(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 정산과 연차 유급휴가 등이 제외됩니다. 반면, 5인 이상인 경우 이 모든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며 추가로 생리휴가, 부당해고 구제절차 등도 적용받습니다.

상시근로자 수 5인 미만 적용 제외 근로기준법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적용되는 근로기준법
ㆍ각종 수당 (연장 근무, 야간, 휴일 근로수당)정산
ㆍ연차 및 유급 휴가
ㆍ각종 수당 (연장 근무, 야간, 휴일 근로수당)정산
ㆍ연차유급휴가
ㆍ생리휴가
ㆍ부당해고 구제절차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근로기준법
ㆍ근로계약서
ㆍ최저임금
ㆍ퇴직금
ㆍ주휴수당
ㆍ4대보험
ㆍ해고예고수당
ㆍ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상시근로자 수에 따라 근로기준법이 달라지니 꼭 확인해서 불이익당하는 일 없도록 합시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정보

 

2024 새출발기금 신청대상

자영업자 여러분, 코로나19로 인해 겪고 계신 경제적 어려움에 대해 깊이 공감합니다. 정부 대출 지원이 종료되고 상환 기간이 도래하면서 많은 분들이 추가적인 부담을 느끼고 계실 것입니다.

2.story-young.com

 

'근로기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휴일 근로수당 계산법 공휴일 알아보기  (0) 2024.05.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