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집을 구하면서 집값도 만만치 않은데 중개수수료도 만만치 않죠? 이사비용도 비싼데 중개수수료도 꽤 높은 금액이라 집을 구할 때 예산을 잘 짜야겠더라고요.
저는 부동산요율표를 이용해 부동산수수료를 계산했는데 그나마 수수료를 알고 있으니 집 구할 때 도움이 되더라고요.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어렵지 않아요. 아래 요율표대로 계산기에 계산만 하면 쉽게 수수료를 알 수 있습니다.
전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전세일 경우 보증금으로 중개수수료를 계산합니다. 하지만 아파트(주택, 다세대, 다가구등 포함)와 오피스텔의 계산식이 조금 달라요.
🟦 아파트 전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다가구, 다세대, 주택 포함)
아파트 전세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보증금에 상한요율을 적용합니다.
보증금이 1억 8천5백만 원일 경우 0.3%의 상한율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185,000,000 x 0.3% = 555,000원이고 부가세 10% 더하면 중개수수료는 610,500원이 됩니다.
🟦 오피스텔 전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오피스텔의 경우 업무용과 주거용으로 나뉘는데 업무용은 0.9% 상한요율을 적용하고 주거용은 보증금에 관계없이 0.4%의 상한요율을 적용합니다.
아래의 조건이 충족되면 주거용 오피스텔로 분류됩니다.
- 전용면적 85㎡ 이하
- 전용수세식 화장실 및 목욕시설, 전용입식 부엌 등 일정 설비를 갖춘 경우
보증금 1억 8,500만 원의 오피스텔 전세의 경우 중개수수료는 상한요율 0.4%를 적용해 74만 원이 되며 이에 부가세를 더하면 수수료는 총 814,000원이 됩니다.
월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월세의 경우 환산보증금에 상한요율을 적용합니다.
환산보증금 = 보증금 + (월세 x 100)
보증금이 2,000만 원이고 월세가 70만 원이라면 환산보증금은 9,000만 원입니다.
월세 또한 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상한요율이 다릅니다.
🟦아파트 월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보증금이 9,000만 원일 경우 상한요율은 0.4%입니다. 중개수수료는 36만 원이지만 아파트의 경우 한도액이 있습니다. 1억 원 미만은 30만 원으로 중개수수료는 부가세 포함 33만 원이 됩니다.
🟦 오피스텔 월세 부동산 중개수수료
보증금 관계없이 주거용 오피스텔 임대 시 상한요율은 0.4%이며 한도액은 없습니다.
따라서 보증금 9,000만 원일 경우 중개수수료 36만 원이고 부가세 포함 396,000이 됩니다.
매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매매의 경우 매매가에 상한요율을 적용하며 마찬가지로 아파트와 오피스텔은 상한요율이 다릅니다.
🟦 아파트 매매 중개수수료
매매가에 상한요율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매매가 1억 8,500만 원의 아파트를 매매한다면 0.5% 상한요율을 적용해 925,000원에 부가세를 더하면 중개수수료이나 아파트의 경우 한도액이 있습니다.
2억 원 미만으로 한도액은 80만 원으로 부가세 포함 880,000원이 중개수수료가 되겠네요.
🟦 오피스텔 매매 부동산 중개수수료
오피스텔의 경우 매매가 금액에 관계없이 상한요율은 0.5%를 적용합니다. 또한 한도액이 없습니다.
1억 8,500만 원의 주거용 오피스텔을 매매할 경우 중개수수료는 0.5%를 적용해 925,000이고 부가세를 더하면 1,017,500원이 됩니다.
지역별 부동산 중개수수료 상한요율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도 | 세종 |
부동산 중개수수료 상한요율
부동산 중개수수료 상한요율은 최대요율을 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금액이 되는 거죠. 그 금액을 넘는 금액을 소비자에게 받는 것은 불법이지만 할인을 해주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 중개업자들은 상한요율을 기본요율로 적용해 소비자들에게 말합니다. 저 또한 전셋집을 구할 때 중개수수료 문자를 받았는데 당연한 듯 상한요율로 계산한 금액을 제시했습니다.
오래되지 않았지만 예전 뉴스에 중개수수료 할인해 주는 착한 중개업자는 중개업자들로부터 '왕따'를 당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부동산 특성상 개인으로만 영업이 힘들 수 있는데 이런 걸 악용한 예시죠.
부동산 중개수수료 부가가치세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입니다. 하지만 중개업자가 간이과세자일 경우 부가세를 함께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과세자일 경우만 10%의 부가세를 추가로 내시면 됩니다.
계약 전 중개업자의 과세 유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연말정산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현금영수증은 연말정산 할 때 3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꼭 현금영수증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중개업자는 현금영수증을 의무적으로 발행을 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혹시라도 받지 못했다면 요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자의 경우 세금계산서나 지출증빙용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아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및 소득세 경비처리가 가능하니 필요한 경우 중개업자에게 요청하시면 됩니다. 현금영수증과 세금계산서는 중복으로 발급되지 않습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카드결제
중개수수료는 카드결제가 가능합니다. 단말기 핑계로 카드결제를 거부할 경우 계약을 다른 부동산에서 하거나 카드결제 거부로 국세청에 신고가 가능합니다.